Saturday, September 13, 2025

유리심장, Glass Heart. グラスハート.

 난 완전히 이 시리즈가 선물한 세계에 빠져 있다. 지금도 TENBLANK의 음반을 듣고 있다.


유리심장, Glass Heart. グラスハート.

청춘물은 콧웃음을 유발하거나 뜻하지 않은 시셈이 느껴져 좋아하지 않는다. 내가 가져보지 못한 젊은시절에 대한 대리만족은커녕, 강제로 만들어지고 있는 그 시절의 추억에 향수를 느끼며 화면 앞 앉아 정체를 알 수 없는10원짜리 미소를 짓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어쨌든 음악 이야기는 멋진 주제, 등장인물들이 보여주는 통속적 이야기 흐름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입체적인 매력, 연기와 음악의 일치감 – 정교한 연출과 편집일까? 계속 유심히 보게 되었다. 하지만, 회를 거듭하면서 음악인이 연기를 하는 것이든, 고도의 편집 기술인지, 어떤 무엇인지 궁금하지 않았다. 그냥 이야기 속에서 즐겁게 허둥거리고 있었다. 통속적인 이야기가 결국 희미해지고 음악을 사랑하는 그들의 환희의 가득한 순간으로 이야기를 맺어내는 것에 박수를 보내었다. 마지막 회만 3번은 넘게 본 것 같다.

출연 배우 모두 실제 연주하고 노래했다고 알려져 있었다. 만들어낸 이야기에 사실성을 부여하거나 환타지에 현실성을 부여하는 건 결국 우리의 현실 인식에서 작품과의 경계 혹은 거리를 희석시키는 일을 한다. 극에서의 사실성. 다큐멘터리에서의 내러티브로 연출되는 극적인 순간. 모두 결국 우리는 냉정하게 머물지 않도록 연출자의 노력이지 않을까?

연기자가 직접 연주하도록 한 의도는, 극 중 밴드, Tenblank에 사실성을 부여해서 ‘유리 심장’이라는 이야기에 몰입감을 만들어내었다 생각한다.

나에게는 무엇보다 배우 사토 타케루(佐藤 健)의 목소리가 너무 매력적이었다. 하지만 난 어떤 이야기이든, 마치다 케이타(町田啓太)가 연기한 타카오카 같은 인물에 애정이 간다.

오래간만에 애착이 느껴지는 이야기였다.



No comments:

Post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