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day, June 22, 2003

복권이란


복권은 스스로 돕지 않는 無産階級의 알량한 꿈. 혹은, 열심히 일했지만, 자신의 계좌 아래 놓인 숫자의 자리 수가 작은 방의 임대차 계약서에 곧 정정될 숫자를 쫓아가지 못 하여 고민하는, 천진한 그래서 화가 날 것 같은 인간들을 위한 몇 천원짜리 희망.

Monday, June 16, 2003

시간 속의 오늘

학생시절 몇 안되던 우상의 역할을 하던 시인, 김수영. 그의 사망일.


시인 김수영에게 4·19는 분기점이었다. 모더니즘으로 출발해 설움·비애 등의 소시민적 정서를 표현하던 시(詩)세계가 이 때를 전후해 현실참여 쪽으로 완연히 기울었다. 물론 그 전에도 술만 마시면 자유당과 이승만을 욕했지만 아직 모더니즘의 형식주의를 완전히 떨쳐내지 못하고 있었다. 좌절과 미완이었지만 김수영에게 4·19는 언제나 꺼지지 않는 횃불이었다. 분단상황도 지울 수 없는 아픔이었다. 김수영 자신이 6·25 때 의용군으로 끌려가 거제도 포로수용소에서 풀려났었다. 황혼무렵이면 발걸음이 명동의 전주집이나 은성 부근을 서성거렸지만 그는 언제나 원고료를 꼬박꼬박 집에 가져간 철저한 생활인이기도 했다. 한때는 양계로 가족을 부양하기도 했다. 1968년 6월 15일 늦은 밤, 김수영은 문단의 지인들과 밤늦게까지 술을 마신 뒤 귀가하던 중 갑자기 덮친 버스에 치였다. 이튿날 오전 9시경 병원에서 숨졌다. 47세였다. - (조선일보)

Thursday, June 12, 2003

성년의 방 - 유년의 기억



어지러운 成年의 내 房 위로 浮遊하는 幼年의 꿈.
혹은, 잃어버린 時間에 대한 燃愍.